(2) 성격발달의 단계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이론에서는 성격발달은 신체적 성숙과 관련이 있다.
성본능을 지배하는 정신에너지인 리비도가 집중적으로 투입되는 성감대와 관련을 맺는다.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가 집중적으로 표출되고 만족을 얻는 신체 부위, 즉 성감대의 발달에 따른 변화를 다음의 5단계 심리성적 발달단계로 구분하였다.
① 구강기
구강전기의 영아는 빠는 행위를 통해 쾌감을 얻으며, 구강후기에는 씹거나 깨무는 행동으로 쾌감을 얻는다.
만일 이때 지나치게 규칙적인 수유나 다른 이유로 구강 만족이 좌절되면 구강고착(oral fixation)이 일어나며 이러한 초기 구강고착은 성격발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②항문기
2~3세 정도가 되면 리비도가 집중되는 곳이 입에서 항문으로 옮아가게 된다.
대면을 참거나 배설하는 행위를 통해 쾌락을 충족시킨다.
이 시기에 부모가 어떻게 배변훈련을 시키느냐에 따라 성격발달이 달라진다.
배변의 쾌감과 부모의 통제 사이에서 유아는 배설욕구를 스스로 통제해 나갈 수 있게 되어야 한다.
인간의 자기통제, 자기조절이 항문기에 있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③성기기
3~5세 사이의 아동은 성기기에 해당된다.
아동은 3~4세경이 되면 성기로부터 쾌감을 느낄 수 있을 만큼 신체적으로 성숙하게 되어 성기를 통해 리비도의 만족을 추구하게 된다.
프로이트는 이 시기 아동의 리비도는 이성의 부모를 향한 근친상간적 욕구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아동은 동성의 부모에 대해서는 적대적 경쟁의식을 지니는 반면 이성의 부모에 대해서는 애정을 발달시키게 된다.
남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정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하고 여아의 경우에는 일렉트라 콤플렉스라 한다.
④잠재기
잠재기는 부모에 대한 오이디푸스적 욕망이 사라지는 6~8세 사이부터 청소년기에 이르는 시기이다.
학동기에 접어들면서 학교와 과업, 운동, 친구관계 등의 비성적 활동에 몰두함에 따라 성적 동기가 감퇴된다.
아동은 동성의 친구와 우정을 키워 나가는 데 정신을 집중하게 되면서 성적 충동이 상대적으로 억압된다.
⑤생식기
성 기관이 성숙되고 이차성징이 나타나면서 이성에 대한 관심과 성적 충동이 다시 증가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사춘기의 생리적 변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자는 정액이 분비되고 여자는 월경을 하게 되어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신체적 능력을 갖추게 된다.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는 자신의 성감대로부터 쾌감을 느끼는 자기애적인 시기이다.
그러나 생식기는 타인과의 진정한 관계를 발달시킴으로써 자기애적인 아동에서 사회화된 성인으로 옮겨가는 시기이다.
'작심일일_공부 > 현대아동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병리_자아 방어기제, 이상성격의 형성 (0) | 2021.12.26 |
---|---|
정신병리_불안 (0) | 2021.12.24 |
인간관_성격의 발달 (0) | 2021.12.21 |
인간관_성격의 구조적 개념 (0) | 2021.12.20 |
인간관_인간에 대한 기본 가정 (0) | 2021.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