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일일_공부/현대아동상담

상담과정_심리평가의 목적과 과정

호낙낙호 2022. 2. 15. 22:26
반응형

 - 상담과정

진단평가 과정에서 면담과 함께 실시되는 심리검사 과정을 심리검사의 목적과 심리검사의 종류 및 검사결과의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심리평가의 목적과 과정

아동에게 심리검사를 하는 궁극적 목적은 아동이 가장 관심있어 하고 가장 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는 측면을 발견하여 그것을 발휘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심리검사자는 아동이 가지고 있는 장점, 즉 잠재력과 약점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 밖에도 아동에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아동의 환경 조건도 함께 파악해야 한다.

Kaufman은 아동의 심리평가 과정은 다음과 같이 5단계로 구정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1단계: 욕구의 평가

부모 혹은 아동의 주변 사람들이 제공한 정보를 기초로 아동의 발달 상태, 현재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아동의 잠재력을 확인해야 한다.

·2단계: 검사단계

아동에게는 여러 가지 심리검사가 실시되며 부모나 교사를 대상으로는 행동평정척도나 관찰평가 등을 실시한다.

아동에게 실시되는 심리검사 과정에는 적어도 다음의 다섯 가지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면담: 아동과 검사자의 첫 만남인 면담은 아동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검사환경을 제공하여 아동이 검사자와 검사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해 준다.

관찰: 검사자는 검사단계 전반에 걸쳐 부모나 교사가 아동의 행동에 대해 보고한 내용을 염두에 두면서 그들의 보고와 상반되거나 일치되는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지적 능력의 평가: 아동의 현재 지적 능력 수준 그리고 지적 잠재력을 파악하는 것은 아동을 이해하고, 부모에게 아동의 교육이나 양육가 관련된 제안을 해 주는 데 필요한 요소이다.

학업성취의 평가: 일반적으로 대집단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학교의 학업성취의 평가는 아동의 최상의 학업수행 능력을 측정하지 못한다.

그러나 잘 통제된 개별검사 상황에서는 아동의 최대 수행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성격의 평가: 검사자는 성격의 평가를 통해 아동이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의 근원을 이해하고 아동이 왜 바람직하지 않은, 수용될 수 없는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게 된다.

·3단계: 분석단계

심리검사자는 면담내용, 관찰된 행동, 심리검사의 결과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다음에 대한 답을 얻어야 한다.

현재의 발달상태

아동의 특별한 능력이나 가능성

아동의 결함이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치료적 제안

아동의 잠재력을 계발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기회들의 제안

부모나 주변사람들이 아동에게 지지적인 환경을 창출할 수 있는 지침

·4단계: 검사결과의 해석과 활용

심리검사자는 심리검사의 분석결과를 부모나 교사 혹은 주변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심리검사 보고서를 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명료하고 구체적으로 작성해서 전달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