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일일_공부/현대아동상담

상담과정_심리평가의 종류(지능검사)

호낙낙호 2022. 2. 20. 22:10
반응형

 - 상담과정

진단평가 과정에서 면담과 함께 실시되는 심리검사 과정을 심리검사의 목적과 심리검사의 종류 및 검사결과의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2. 심리평가의 종류

아동의 심리평가 과정에는 아동뿐 아니라 부모 혹은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평가도 포함된다.

아동의 문제는 아동만의 문제가 아니고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와 학교의 적응문제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부모 혹은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평가의 정보가 아동에게 실시된 평가의 결과와 종합될 때 아동을 좀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2) 지능검사

아동용 지능검사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아동상담 장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능검사는 아동용 웩슬러지능검사와 비네검사 그리고 카우프만검사이다..

그중에서도 웩슬러지능검사는 아동의 지적 능력뿐 아니라 성격양상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질 수 있어 아동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다.

(1) 한국 아동용 웩슬러지능검사

한국 아동용 웩슬러지능검사는 웩슬러가 개발한 지능검사를 한국교육개발원이 우리 문화에 맞게 표준화하여 제작한 검사로 5~15세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개별지능검사이다.

웩슬러지능검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토대 위에서 제작되었다.

첫째, 웩슬러지능검사는 지금까지 비네에 의해 제안되어 사용되어왔던 정신연령의 개념 대신에, 지능지수를 각 연령 집단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로 지능을 표시하는 편차지능지수를 사용한다.

둘째, 웩슬러는 지능을 개체가 합목적적으로 행동하면서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효율적으로 환경을 처리해 가는 종합적, 총체적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 지능을 단일능력이 아닌 여러 가지 능력, 다시 말해 지적능력과 동기 또는 성격 같은 비지적 요인으로 구성된 포괄적 개념으로 보았다.

셋째, 웩슬러지능검사는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 지능지수뿐 아니라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도 함께 측정하고 있다.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성격적 특성에 관한 임상적 진단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2) K-ABC(카우프만 아동용 개별지능검사)

K-ABC는 지능과 습득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개인지능검사이며 전국적인 표집계획에 따라 26개월~125개월까지의 정상 아동 및 특수 아동들을 표집하여 표준화되었다.

K-ABC로 측정되는 지능은 문제를 해결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개인의 인지처리양식으로 정의된다.

순차처리척도와 동시처리척도는 바로 뇌의 특수화를 연구하는 여러 연구자와 그의 제자들, 그리고 인지심리학자에 의해 밝혀진 두 개의 인지처리기능을 나타낸다.

순차처리는 문제를 해결할 때 정보를 한 번에 한 개씩 시간적인 순서로 연속적으로 분석을 처리하는 과정이고 반면에 동시처리는 가장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극의 전체적인 통합을 하는 과정이다.

K-ABC의 인지처리과정 하위검사들은 검사에서 아동이 정답반응을 하기 위해 가능한 한 아동의 언어능력이나 어휘력의 영향이 최소가 되도록 개발되었으며 문화적 공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문화권에 공유된 자극물을 사용하여 검사문항을 개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