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과정
3) 성격검사
(4)문장완성검사
JosephM. Sacks에 의해 개발된 문장완성검사는 뒷부분이 빠져 있는 미완성의 문장을 제시하고 맨 먼저 떠오르는 생각을 뒷부분에 기록하여 문장이 되도록 완성하는 검사이다.
앞서 소개된 로르샤하검사나 주제통각검사가 깊은 무의식을 투사해 주는 것과 달리 문장완성검사는 의식적·전의식적 수준의 생각과 감정을 드러내 준다.
문장완성검사는 다음의 4가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①가족 영역은 아버지, 어머니 및 가족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다.
②성적 영역은 여성과 남성, 이성관계, 결혼 및 성적 관계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다.
③대인관계 영역은 친구, 주변의 아는 사람, 권위자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다.
④자아개념 영역은 자신의 능력, 과거, 미래, 두려움, 죄책감 등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다.
(5)집-나무-사람검사
그림은 인간의 기본적 언어로서 글을 통해 배우기 이전인 어린아이들도 어떤 형태로든 그림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게 된다.
아동의 그림에는 아동 자신이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적 갈등·충동이나 공상이 투사되고, 아동의 현재 흥미나 관심이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아동의 그림은 인지발달, 신체운동발달 수준이 반영된다는 점에서 투사적 진단도구로서 가치가 크다.
토사적 그림검사는 우리 주위의 여러 대상 중 사람이나 집, 나무와 같은 친숙한 대상의 그림이 개인의 성격, 태도, 지각을 잘 반영한다는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① 집 그림 검사의 해석
집은 아동이 내면에 가지고 있는 가족, 가족관계, 가정생활, 가족구성원에 대한 연상을 일으키는 수단으로, 집그림 검사를 통해 아동의 이 같은 가정상황에 대한 지각과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문: 문은 집과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로, 자신이 세상으로 나아가는 통로임과 동시에 타인이 자신의 삶에 들어오도록 허용하는 통로를 의미한다.
ⓑ창문: 창문은 세상을 내다보고 타인이 집안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통로이기 때문에 대인관계와 관련된 피검사자의 주관적 경험 혹은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반영한다.
ⓒ벽: 벽은 집이 서 있도록 지탱해 주고 외부환경으로부터 집의 내부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벽은 외적인 위협에 의해 자아가 붕괴되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 주는 역할, 즉 자아강도와 자아통제력을 나타내 준다.
ⓓ지붕: 사람의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내적인 공상활동, 생각이나 기억 같은 내적 인지과정과 관련된다고 본다.
ⓔ지면선: 현실과의 접촉을 의미한다
ⓕ굴뚝: 벽은 가족 내의 분위기, 가족간의 애정교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굴뚝의 연기는 애정욕구, 애정욕구와 관련된 좌절감, 상실감을 나타낸다.
ⓖ부수적인 것을 그린 경우: 집을 그리라고 하면 집만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 외의 울타리, 산, 산책로 등을 그린 경우는 추가된 대상이 아동의 특징을 잘 반영해 준다.
② 나무 그림의 해석
나무와 사람 그림에서는 피검사자의 신체상과 자아상이 반영되는데, 그중에서도 나무 그림에는 사람 그림보다 좀 더 깊은 무의식적 감정이 드러난다.
나무는 심층적 수준의 자아에 관한 내면의 감정이 투사되는 반면 사람 그림은 좀 더 의식적 수준의 자신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느낌을 반영한다.
ⓐ나무기둥: 나무기둥은 집의 벽과 같이 나무를 지탱해 주는 부분이므로 피검사자의 성격구조가 얼마나 견고한지, 즉 자아강도를 반영한다.
ⓑ뿌리: 뿌리는 나무가 땅에 든든히 서 있을 수 있도록 해 주는 부분으로, 내적으로 느끼는 자기자신에 대한 안정감을 반영해 준다.
ⓒ나뭇가지: 나무가 땅에서 양분을 흡수하여 성장해 나가는 부분이다. 따라서 나뭇가지는 피검사자가 환경에서 만족을 추구할 수 있는 자원과 능력을 나타낸다. 또한 성취하고자 하는 소망과 이를 위한 노력을 반영하기도 한다.
③사람 그림의 해석
나무 그림과 달리 사람 그림은 좀 더 의식적 수준의 자아상이 투사된다.
아동이 사람 그림을 완성하면 인물의 성별을 확인한 후 다른 성의 사람을 그리도록 한다.
이때 그림의 순서, 두 인물의 차이, 크기, 왜곡과 생략, 선의 특성 및 인물의 세부 묘사를 해석한다.
ⓐ그림의 순서: 일반적으로 자신과 동일한 성의 인물을 먼저 그린다. 이성을 먼저 그릴 경우는 이성 부모나 이성에 대한 강한 애착이나 성정체감 장애를 시사할 수도 있다.
ⓑ두 인물의 비교: 남성과 여성의 그림을 비교함으로써 피검사의 정신성적 태도를 알아볼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부모의 부부관계 양식을 시사받을 수 있다.
ⓒ인물의 크기: 종이 크기에 비례한 인물의 크기는 피검자와 환경의 역동적 관계를 반영한다.
'작심일일_공부 > 현대아동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과정_검사보고서의 작성 및 활용 (0) | 2022.03.13 |
---|---|
상담과정_성격검사(동작성 가족화검사) (0) | 2022.03.04 |
상담과정_성격검사(로르샤하검사, 주제통각검사,BGT) (0) | 2022.02.23 |
상담과정_심리평가의 종류(지능검사) (0) | 2022.02.20 |
상담과정_심리평가의 종류(행동평정 척도)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