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과정
3. 검사보고서의 작성 및 활용
심리검사의 보고서는 의뢰 사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수행될 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심리검사의 보고서는 실시된 검사들의 결과만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다.
검사실시 과정에서 아동이 보인 행동의 관찰, 부모로부터 수집된 양육사 혹은 교사나 주변사람들로부터 얻어진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지적·정서적·성격 및 사고의 특성 전반에 걸친 아동의 고유성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아동의 심리검사 결과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①아동의 인적사항
보고서의 첫 부분에 기록하는 사항으로 아동의 이름, 연령, 성별, 생년월일, 학교와 학년 그리고 의뢰된 기관이 포함된다.
②의뢰 사유(주호소)
아동이 현재 보이는 문제를 독특한 행동이나 증상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더불어 의뢰인이 검사를 통해 얻기를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에 관해서도 기록해야 한다.
③검사 시 행동 관찰
아동의 신체적 외모, 검사자에게 보이는 반응, 검사과제에 성공했을 때와 실패했을 때의 행동, 습관적 행동 등의 관찰이 포함된다.
검사 시 행동관찰은 검사도구로는 측정될 수 없는 부분에 대한 정보가 된다.
④평가결과와 임상적 인상
평가결과에는 실시된 검사결과의 수치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된 모든 검사들의 결과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제시한다.
아동의 전반적 지적 능력, 정서적 상태, 사고의 형태 등 아동 전반에 걸친 현재의 상태를 기술하게 된다.
⑤제언
제언은 부모나 교사의 호소 내용을 염두에 두고 작성하여 이들이 얻고 싶은 질문에 명확한 답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그 외의 아동의 문제의식, 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모나 교사의 대처방안,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방향도 포함되어야 한다.
'작심일일_공부 > 현대아동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과정_상담의 진행과정 (0) | 2022.03.19 |
---|---|
상담과정_상담환경의 구조화, 상담의 진행과정 (0) | 2022.03.15 |
상담과정_성격검사(동작성 가족화검사) (0) | 2022.03.04 |
상담과정_성격검사(문장완성검사, 집-나무-사람검사) (0) | 2022.02.26 |
상담과정_성격검사(로르샤하검사, 주제통각검사,BGT)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