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과정
1. 의뢰과정
아동 스스로가 상담을 요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부모, 교사, 소아과 의사, 지역사회의 종사자들 같은 주변 사람들에 의해 의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담의뢰는 대부분 전화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접수를 위한 전화 접촉은 상담 못지않게 중요하다.
전화 접수 시 대체로 아동의 이름, 나이, 연락처, 현재 아동이 나타내는 문제의 유형과 심각성 등에 관한 정보를 얻게 된다.
전화 접촉 단계에서는 호소하는 아동의 문제가 무엇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부모들은 아동에게 상담에 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를 걱정하기도 하는데 이때 상담자는 부모가 아동에게 설명하는 법에 대해서도 조언을 해 주어야 한다.
2. 면담과정
상담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진단, 평가 차원의 면담이 중요하다.
면담을 통해 아동의 현재 상태를 구체화하고 현재의 문제를 유발시키고 지속시키는 요인과 그동안의 아동의 적응과정과 적응방식을 파악하게 된다.
아동상담의 면담과정은 아동과 부모면담이 모두 포함되며 대체로 부모면담으로 시작된다.
1) 부모면담
(1) 면담내용
상담자는 부모면담 과정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의 본질, 문제행동의 지속기간, 심각성, 유발요인, 문제행동이 발생했던 당시의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또한 부모면담에서는 아동의 발달과업이 이루어진 시기를 중심으로 발달력, 병력, 학교적응 정도, 가족관계, 또래관계에 관한 정보에서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탐색해 보고 현재의 적응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아동의 문제를 유발·지속시키는 원인을 부모-자녀 관계의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부모면담에서는 문제행동에 대해 부모가 어떻게 반응해 왔는지 그동안 부모가 사용했던 훈육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부모와의 면담과정이 수집되고 평가되어야 하는 내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주호소문제
부모가 생각하는 아동의 주요 문제는 무엇인가?
이 문제로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②문제의 지속성과 심각성
문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문제가 아동의 일상의 적응능력을 저하시킬 정도로 심각한가?
③문제의 유발 요인
문제가 발생할 즈음 있었던 생활 사건이나 상황은 어떠했는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부모나 주변사람들은 어떻게 대처했는가?
④아동의 현재 적응 상태
학업 성취 정도는 어떠한가?
또래 사귀기는 어떠한가?
일상적인 생활습관과 태도는 어떠한가?
⑤아동의 발달력
발달의 이정표(처음 말하기, 걷기, 대소변 가리기 등)
출생 전(임신 기간), 출산 과정, 출생 후 질병의 유무
⑥아동의 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 환경
부모의 성장 과정
부모의 성격 문제
결혼생활(부부갈등, 고부갈등 등 가족관계의 갈등)
(2) 면담관계와 기법
아동의 문제로 상담실을 찾은 부모는 아동의 문제가 부모 자신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죄의식을 갖거나, 부모가 무능하다는 평가를 받을 것 같아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또한 부모의 성격문제나 부부갈등 때문에 아동에게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상담과정에서의 실제적인 내담자는 부모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면담과정에서 부모와 신뢰로운 관계를 맺는 것은 상담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위해 상담자는 면담관계를 촉진하는 면담기법을 익혀야 한다.
다음은 면담을 촉진시키는 기법들이다.
①개방적 질문
상담자는 정보를 얻는 데 관심을 갖지만 정보를 어떤 주제로부터 끌어내야 할지는 내담자가 선택하도록 한다.
②반사
부모의 이야기에 나타나고 있는 정서반응에 부모가 집중할 수 있도록 이야기에 동반되는 감정을 강조해 준다.
③긍정적인 강화
부모가 하기 힘든 이야기를 어렵게 하는 경우 상담자는 이를 긍정적으로 지지해 주고 강화해 준다.
④침묵
면담과정에서 침묵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은 내담자로 하여금 그가 말한 내용을 거리를 두고 그 의미를 찾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때론 내담자는 상담자가 자신이 계속 말하기를 원한다고 잘못 생각하여 계속 말하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담자는 침묵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깨우쳐 주어야 한다.
⑤해석
상담자는 내담자의 동기, 생각, 감정, 행동의 의미를 이해하려 노력하며, 이를 해석해 준다.
해석은 내담자가 자신을 이해할 수 있게 돕는데 필요한 기법이다.
'작심일일_공부 > 현대아동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과정_심리평가의 목적과 과정 (0) | 2022.02.15 |
---|---|
상담과정_면담과정, 아동과의 면담 (0) | 2022.02.13 |
음악치료_음악치료에서 사용되는 음악의 종류, 음악활동의 종류 (0) | 2022.01.30 |
음악치료_음악의 치료적 가치 (0) | 2022.01.27 |
미술치료_아동그림의 발달단계, 미술재료의 선택과 사용, 미술치료의 기법 (0) | 2022.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