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아동의 상담
2. 장애유형별 상담
이 부분에서는 아동기의 다양한 정신장애 중 상담장면에서 가장 빈번히 만나게 되는 장애유형의 상담을 살펴본다.
4)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상담
(1)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특성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란 산만함과 짧은 집중시간이 일차적 문제이고, 과잉행동과 충동성이 수반되는 장애로서 아동기에 가장 빈발하는 장애이다.
이 자애가 선천적이며 신경생물학적 원인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에는 누구나 동의하나 구체적인 발병요인은 밝히지 못하고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아의 구체적 행동 기술은 DSM-IV에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이 진단기술을 소개한다.
①앉아서도 손발을 가만 두지 못하고 몸을 뒤튼다.
②필요한 경우에도 계속 앉아 있기 힘들다.
③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주의가 산만해진다.
④게임이나 그룹상황에서 차례를 기다리지 못한다.
⑤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대답이 불쑥 튀어나오는 경우가 잦다.
⑥다른 사람의 지시에 따라 일을 끝마치기가 힘들다.
⑦해야 할 일이나 놀이활동에 계속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⑧한 가지 활동을 끝마치기 전에 다른 활동으로 자주 옮긴다.
⑨조용히 놀기 힘들다.
⑩말을 많이 한다.
⑪자주 다른 사람을 방해 또는 참견한다.
⑫자기에게 뭐라고 하는지 듣지 않는 것 같다.
⑬필요한 물건들을 자주 잃어버린다.
⑭앞일을 생각하지 않고 신체적으로 위험한 행동을 자주 한다.
(위의 14개의 증상 중 8개 이상이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고 7세 전에 발병해야 한다)
(2)상담방법
충동을 통제하고, 주의를 집중하고, 규칙을 지치는 것이 힘든 ADHD아동의 상담에서는 행동수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담접근법이며 약물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①수용될 수 있는 행동과 수용될 수 없는 행동을 우선 결정하고 나서,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행동수정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이때 이 아동들은 보상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게 되므로 보상내용을 정기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②모델링이나 아동이 덜 충동적인 방법으로 반응하도록 촉진시키는 자기교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자기교시란 아동이 자기-언어화를 통해 행동을 통제할 수 있게 해 준다.
③규칙, 차례 지키기가 힘들어도 또래에게 자주 배척당하므로 사회적 기술훈련이 중요하다.
④부모상담과 가족치료는 필수적이다.
ADHD 아동의 부모들은 다른 아이 여러 명을 기르는 것만큼 힘이 든다고 호소한다.
이 아동들은 활동량이 많고 충동적이어서 문제를 몇 배나 더 일으키게 된다.
이런 문제로 부모-자녀 관계가 악화되게 된다.
그러므로 부모상담을 통해 이 장애의 특성과 아이를 다루는 방법을 교육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전체 가족이 참여하는 가족치료에서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악화된 관계를 인식하고 이를 재조정하기 위한 기법들이 활용될 수 있다.
'작심일일_공부 > 현대아동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아동의 상담_장애유형별 상담(신체장애아동의 상담) (0) | 2022.04.23 |
---|---|
장애아동의 상담_장애유형별 상담(분리불안장애아동의 상담) (0) | 2022.04.17 |
장애아동의 상담_장애유형별 상담(전반적 발달장애) (0) | 2022.04.12 |
장애아동의 상담_장애유형별 상담(학습장애아동) (0) | 2022.04.09 |
장애아동의 상담_장애유형별 상담(정신지체아동의 상담) (0) | 2022.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