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일일_공부/현대아동상담

장애아동의 상담_장애유형별 상담(학습장애아동)

호낙낙호 2022. 4. 9. 22:42
반응형

 - 장애아동의 상담

2. 장애유형별 상담

이 부분에서는 아동기의 다양한 정신장애 중 상담장면에서 가장 빈번히 만나게 되는 장애유형의 상담을 살펴본다.

2) 학습장애아동의 상담

(1)학습장애아동의 특성

학습장애란 언어, 즉 구어와 문어의 이해와 표현에 포함되는 기본적인 심리과정에서 한 가지 이상의 장애를 말한다.

심리과정상의 장애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철자 및 산수 계산 등의 능력이 불완전하여 장애를 나타내는 것이다.

학습장애아동의 학습곤란은 취학 후에 분명해지며 학습에서의 어려움은 또 다른 정서문제와 문제행동을 야기시키게 된다.

학습장애아의 구체적 행동특성은 다음과 같다.

미국 정신의학회의 DSM-IV에는 학습장애와 관련된 주요행동 특성으로 기억의 문제와 같은 인지적 처리과정의 곤란 외에 도덕성의 결여, 낮은 자존감, 사회적 기술의 결여, 충동성,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제시되어 있다.

학습의 곤란은 학교 입학 후 학교공포증, 경미한 우울증 같은 이차적인 정서문제로 나타나기도 한다.

오랫동안 학습상황에서 좌절을 경험해 온 나이 든 학습장애아동은 무력감으로 인한 우울증을 보이거나 과격한 행동의 행동문제를 나타내기도 한다. 더욱 심각한 경우는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학교중퇴, 비행, 약물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2)상담방법

모든 학습장애아동이 앞서 제시한 행동 특성들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이 적어도 한두 가지의 행동문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담자는 학습장애아동의 특별한 요구에 맞춰 상담과정과 기법을 변화시켜야 한다.

정신지체아동처럼 학습장애아동도 주의집중 유지시간이 짧고 쉽게 산만해지므로 상담시간을 짧게 구성해야 하고, 상담과정은 보다 더 구조화되어야 하며, 상담과정에는 활동지향적 자료를 보다 많이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집단상담은 학습장애아동의 부족한 대인관계 기술로 인해 또래, 부모, 교사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어려움을 도와주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상담자는 아동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학습장애아동은 정서적으로 취약하고 간혹 엉뚱해 보이는 행동을 하는데, 이러한 행동은 상담과정을 방해하여 상담의 진전을 느리게 할 수 있어 상담자의 인내가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