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일일_공부/현대아동상담

장애아동의 상담_장애유형별 상담(전반적 발달장애)

호낙낙호 2022. 4. 12. 21:48
반응형

 - 장애아동의 상담

2. 장애유형별 상담

이 부분에서는 아동기의 다양한 정신장애 중 상담장면에서 가장 빈번히 만나게 되는 장애유형의 상담을 살펴본다.

3) 전반적 발달장애(유아기 자폐증)

자폐증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면서 활동과 관심영역이 제한적인 특성을 갖는 장애이다.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에서는 자폐증은 기타장애 영역과는 다른 하나의 독립된 장애영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1)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특성

자폐증은 대부분 태어나면서부터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간혹 드물게 1~2년 동안 잘 자라던 아이가 어떤 사건이 있거나 혹은 이유 없이 이제까지 배웠던 말이나 행동이 중지되고 퇴행하면서 자폐적인 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전형적인 자폐증은 30개월 이전에 나타나며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에게 3~4배 더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음은 전반적 발달장애에 대한 DSM-IV의 진단준거이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결함

a.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눈맞춤, 얼굴표정, 자세, 몸짓 등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의 사용에 있어서 명백한 손상을 보임

b.발달수준에 적합한 또래관계를 발달시키지 못함

c.즐거움, 관심 또는 성취를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과 나누려 하지 않음

d.사회적 또는 정서적 상호작용이 결여됨

의사소통의 질적 결함

a.언어발달이 지체되거나 결여됨

b.적절한 말을 할 수 있는 경우에도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고 유지하는 능력에 명백한 결함

c.언어나 특이한 언어를 상동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용함

d.발달수준에 적절한 다양하고 자발적인 가상놀이나 사회적 모방놀이가 결여됨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제한된 행동

a.강도나 내용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한 가지 이상의 상동적이고 제한된 형태의 관심영역에 몰두함

b.특징적이고 비기능적인 일이나 의례적 행동에 융통성 없이 집착함

c.상동행동적이고 반복적인 운동을 보임

d.특정 사물에 대해서 지속적인 집착을 보임

 

(2)상담방법

자폐증의 상담에는 기본적인 사회적 행동과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핵심과정이다.

또한 가정에서 아동에게 자조기술을 가르칠 수 있도록 부모훈련 등의 가족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대인관계의 욕구는 물론 사회적 의사소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자폐아동과의 상담 초기단계는 상담자에게 많은 어려움과 좌절을 줄 수 있다. 상담 초기단계에서 아동과 친밀한 관계를 맺기까지 상담자의 인내와 수용적 태도가 필요하다.

상담자는 아동이 모방과 관찰학습을 통해 적절한 사회적 기술을 배우도록 해야한다. 또한 또래와 할 수 있는 사회적 놀이를 직접 가르치기도 한다.

언어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자폐증 아동들은 상대방의 손을 이끌고 가는 등 비언어적 방법으로 자신의 욕구와 요구를 표현한다. 상담자는 자신의 욕구나 요구표현 및 대인관계를 맺는 데 필요한 간단한 말을 직접 가르친다.

 
반응형